-
[1]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데이터베이스 2023. 6. 17. 01:33반응형
정보처리
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방법
여기서 주의할 점: 데이터 != 정보
데이터: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사실이나 값
정보: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의 해석이나 상호 관계 - 의미
데이터는 정보처리 과정을 통해 정보가 된다.
정보시스템
조직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유용한 정보를 만들어 주는 수단
데이터베이스
정보시스템 안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
데이터베이스
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해서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
공유 데이터
-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함께 소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
통합 데이터
- 최소의 중복과 통제 가능한 중복만 허용하는 데이터
저장 데이터
-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
운영 데이터
- 조직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꼭 필요한 데이터
데이터베이스의 특징
- 실시간 접근: 사용자의 요구에 실시간으로 응답해야 한다.
- 계속 변화: 데이터의 계속적인 변화를 통해 현재 상황에서 정확한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어 있어야 한다.
- 동시 공유: 서로 다른 데이터를 동시 사용 가능해야 하고 같은 데이터의 동시적 사용도 지원해야 한다. ex) 나중에 배울 트랜잭션 내용
- 내용 기반 참조: 데이터에 저장된 위치가 아니라 내용을 기반으로 참조한다. db에서 순서는 의미 없기 때문
데이터의 분류
정형 데이터
-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, ex) 스프레드 시트,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
반정형 데이터
- 구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이지만 데이터 내용 안에 구조에 대한 설명이 함께 존재
- 구조를 파악하는 parsing이 필요
- 보통 파일 형태로 저장
ex). html, xml, json, 웹 로그, 센서 데이터 등
JSON 비정형 데이터
- 정해진 구조가 없이 저장된 데이터
ex) 소셜 미디어의 텍스트, 영상, 이미지, 워드, pdf, 마크다운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
반응형'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4] 데이터 모델링 (0) 2023.06.27 [3]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(0) 2023.06.22 [2] 파일시스템 vs.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 (0) 2023.06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