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💡 지식은 공유할 때 빛나는 법 💡 꾸준히 몰입, 백엔드 개발자가 되는 그날까지 최선을 다하자.

Today
Yesterday
Total
  • [2] 파일시스템 vs.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
    데이터베이스 2023. 6. 17. 02:23
    반응형

    파일 시스템

    •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서 파일을 생성 삭제 수정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
    • 응용 프로그램마다 필요한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관리함.

    기존 파일 시스템의 문제점

    •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 저장됨 -> 데이터 중복성 -> 데이터 일관성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어려움.
    •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파일에 종속적이다 -> 데이터 종속성
    • 데이터 파일에 대한 동시 공유, 보안, 회복 기능이 부족하다
    • 응용 프로그램이 개발이 쉽지 않다
    데이터 무결성: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한가
    쉽게 말하면, 고객 데이터 파일의 고객 아이디가 바뀌면 주문데이터 파일의 고객 아이디도 바뀌어야 함.

    데이터 무결성은 뒤에서도 계속 나오는 아주 중요한 개념이니 꼭 이해하고 넘어가자!

     

    기존의 파일시스템

     

  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

    • 데이터의 공유기능

    - DBMS가 관리하는 데이터는 여러 응용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고,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비효율성과 일관성 문제를 제거함.

    - 다른 프로세스가 동시에 같은 데이터에 작업을 하려할 때 동시성 문제가 생기는데 DBMS는 하나의 단위 프로그램이

    일을 마칠 때까지 해당 데이터를 독점하도록하는 방법(트랜잭션 단원에 나옴) 등으로 문제를 막음.

     

    • 데이터 무결성 유지 기능
    • 데이터 독립성

    응용프로그램은 데이터가 디스크에 어떻게 저장되어 있는지 몰라도 된다.

    데이터에 종속적이면 데이터 저장구조 같은 걸 바꿀 때 응용프로그램도 바꿔야 한다 -> 매우 비효율적

    • 효율적인 자원관리 기능
    • 데이터 보안성과 안정성 유지 기능

    보안성: 사람으로서의 데이터 보호

    안정성: 컴퓨터 장애나 고장 등으로부터의 보호

     

  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기능 3가지 분류

    정의 기능: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.

    조작 기능: 데이터를 삽입, 삭제, 수정, 검색하는 연산을 할 수 있다.

    제어 기능: 데이터를 항상 정확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.

     

    DBMS의 발전과정

    반응형

    '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[4] 데이터 모델링  (0) 2023.06.27
    [3] 데이터베이스 시스템  (0) 2023.06.22
    [1]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  (0) 2023.06.17
Designed by Tistory.